건축물 안전진단 업무시 구조해석 프로그램 Midas Gen프로그램의 활용으로 진단 대상 건물의 구조해석검토를 위한 기초적인 실무적용을 알아보자.
1) 모델링
a. 기존캐드도면이 있을시 : 기존도면의 중심선 정리 후 .DXF파일로 불러온다. 이때 캐드상의 선의 끊김 및 선 겹침을 주의(각각의 절점으로 인식)
==> 되도록이면 MODEL - STRUCTURE WIZARD 메뉴를 사용하여 GEN상에서 바로 모델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
2) 진단 대상 건축물의 구조 재료 및 강도 등을 입력한다.
MODEL - PROPERTIES - MATERIAL
3) 진단 대상 건축물의 구조설계도서를 참조하여 보 및 기둥 부재 단면 정보를 입력한다.
MODEL - PROPERTIES - SECTION
4) 진단 대상 건축물의 구조설계도서를 참조하여 벽체 등의 부재 단면 정보를 입력한다.
MODEL - PROPERTIES - THICKNESS
5) 하중 입력
a. LOAD - STATIC LOAD CASES NAME과 TYPE 입력
b. LOAD - SELF WEIGHT DL을 Z축으로 -1 입력
c. LOAD - ASSIGN FLOOR LOAD (구조 및 건축설계도 면을 참조 각 실의 용도 및 마감 등 DL/LL 입력)
d. 조적벽체 및 파라펫 등은 LINE BEAM LOAD 및 ELEMENT BEAM LOAD로 입력한다.
6) 벽체 모델링후 WALL ID부여
7) 구조설계도면의 보 및 기둥리스트를 참조하여 철근 정보 입력
DESIGN -CONCRETE DESIGN PARAMETER ==> MODIFY BEAM(COLUMN) SECTION DATA
8) 지지반력 설정
BOUNDARY - SUPPORT ==> 모델링 최하레벨 노드를 잡고 D-ALL / R-ALL 체크 후 APPLY(조건에 맞게 변위 자유도 및 회전 자유도 체크)
9) 노드로 인하여 하나의 부재가 나누어 졌다면
DESIGN - GENERAL - DESIGN PARAMETER - MEMBER ASSIGNMEN
10) 풍하중을 입력한다.
LOAD - LATERAL LOAD - WIND LOAD WX, WY
==> 노풍도 구분, 기본풍속, 중요도 계수, 가스트 영향계수 입력 ===> 구조설계기준 참조
11) 지진하중을 입력한다.
LOAD - STATIC SEISMIC LOAD EX, EY
==> 지진구역, 지반분류를 입력하면 단주(Sds)와 주기1초 스켁트럼설계가속도(Sd1) 자동입력, 내진등급과 중요도 계수, 근사고유주기 구조설계 기준 확인 후 입력.
12) 동적지진하중을 입력(선택)
a. LOAD - RESPONSE SPECTRUM ANALYSIS DATA - RESPONSE SPECTRUM FUNCTION - ADD - DESIGN SPECTRUM ===> 구조설계기준 참조 입력
b. LOAD - RESPONSE SPECTRUM ANALYSIS DATA - RESPONSE SPECTRUM LOAD CASES
LOAD CASES NAME ====> RX, ☑KBC20.. ☑Apply Daping Method, ☑Accidental Eccentricity ==> ADD
RY바꾼후 EXCITATION ANGLE 90 ==> ADD
c. POST-PROCESSING MODE
d. RESULT - RESULT TABLE - STORY - STORY SHEAR FORCE RATIO ==> ☑RX ☑RY ☑1F OK하고 RX, RY SUM값을 기록해 둔다. (정적지진하중(EX,EY)값과 동적지지하중(RX,RY)의 보정값 확인
e. EX,EY의 SEISMIC LOAD PROFILE을 확인후 1F의 STORY SHEAR 값을 기록.
EX/RX =보정계수, EY/RY=보정계수를 기록해 둔다.
f. RESULT - COMBINATION - GENERAL TAB에서 AUTO GENERATION 선택후 REPLACE를 체크 후 SCALE UP FACTOR에 RX,RY의 보정값을 입력.
☑Consider Orthogonal Check ==> SET LOAD CASES FOR ORTHOGONAL EFFECT ==> CASE1-RX, CASE2-RY
13) 하중을 메스로 치환
MODEL - MESSES - LOAD TO MESSES
MESSES DIRECTION ==> X, Y CHECK DL ADD
14) DESIGN - PERFORM BATCH DESIGN - 검토할 부재 체킹후 NG있는지 확인.
15) 반력확인
RESULT - REACTION FORCE/MOMENTS 하중조합 선택 후 COMPONENT Fz => APPLY
16) 변형도 및 변위 확인 - 모델의 변형상태와 속도, 가속도 등을 변형도 형상으로 확인
RESULT - DEFORMATIONS - DEFORMED SHAPE - COMPONENT DXYZ
17) 부재력 확인 -보요소의 내력을 등고선도(CONTOUR)로 확인
RESULT - FORCE - BEAM FORCE/MOMENTS
18) 보요소의 전단력도(SHEAR FORCE DIAGRAM)와 휨모멘트도(BENDING MOMENT DIAGRAM)를 확인.
RESULT - FORCE - BEAM DIAGRAMS
19) 부재응력확인 -GENERAL BEAM, TAPERED BEAM등의 응력을 등고선도(CONTOUR)로 확인.
RESULT - STRESSES - BEAM STRESSES
'건축업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파트 해석(MIDAS GENw 사용시) (1) | 2013.09.09 |
---|---|
공동주택 수직증축 리모델링 허용방안 (0) | 2013.09.09 |
철골기둥 BASE PLATE 하부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이유는? (0) | 2012.09.10 |
구조설계시 동결심도란? (0) | 2012.09.07 |
건축구조물의 보수보강은 어떤것들이 있을까? (0) | 2012.09.07 |
댓글